응집성(cohesion)과 통일성(coherence)
영어과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응집성(cohesion)과 통일성(coherence)이라는 용어가 나온다.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영어 단어는 사라졌지만, 응집성과 일관성이라는 용어가 표현되어 있다. 통일성과 일관성은 영어로 coherence의 우리말 표현으로 비슷한 개념으로 사용된 듯하다.
응집성은 어떤 글에 포함된 내용 간의 표면적인 연결 관계를 말하며, 통일성 혹은 일관성은 글에 포함된 내용 간의 의미적인 연결 관계를 말한다.
응집성은 보통 지시사, 접속사 등의 장치를 통해 문장이나 글을 연결하며, 통일성은 응집성 장치를 통해 문장이나 글의 의미적인 관계가 형성된다.
따라서, 어떤 글이 통일성을 갖추려면 문장과 문장, 문단과 문장 사이가 긴밀한 응집성 장치를 통해 연결되어야 함을 알 수 있으며, 응집성과 통일성은 서로 보완적인 관계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즉, 통일성 또는, 일관성 있는 글을 쓰려면 글의 응집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하며, 지시사, 접속사, 연결사 등의 응집성 장치를 잘 활용하여야 글의 응집성을 높인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수능 영어는 듣기와 읽기 문제를 통해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문항을 평가하는데, 말하기, 쓰기는 듣기와 글을 통해 간접 평가하고 있다.
읽기로 구성된 영어 문항의 경우, 타인이 쓴 영어 글을 바르게 독해했는지를 평가하는 것으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글은 객관성을 담보하기 위해 통일성 혹은 일관성, 그리고 응집성이 담보된 글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수능 영어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글의 응집성과 일관성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응집성의 장치인 지시사, 접속사, 연결사 등의 역할을 학습하는 것이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번 글에서는 응집성 장치인 접속사 중에서 and에 관해서 설명해 보고자 한다.
접속사 의미
접속사(conjunction)는 단어와 단어, 구와 구, 절과 절을 연결하는 것으로 문법상 또는 형식상 대등한 관계를 연결하는 등위접속사와 종속절을 주절에 연결해 주는 종속 접속사가 있다.
and의 문법적, 의미적 특성
등위접속사 중에서 대표적인 것이 and다. and의 문법적, 의미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and의 문법적 특성
and의 문법적 특징은 낱말과 낱말, 구와 구, 절과 절을 대등하게 연결하는 기능을 가진다. 아래 예문은 2015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 문서인 언어 형식에 제시된 것으로 여기서 and는 절과 절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Andy plays the guitar, and his sister plays the piano.
and의 의미적 특성
and가 구와 구, 절과 절이 연결될 때는 흔히 알고 있는 우리말 뜻 ‘그리고’ 이상의 의미가 있다.
첫 번째로 and는 행동과 상태의 동시성을 나타낸다.
He walked and talked.
이 문장은 “그는 걸으면서 말했다.”로 해석되며, and는 walk라는 행동과 talk라는 행동을 동시에 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 경우 walked와 talked의 순서로 바꾸어도 의미상 큰 차이가 없다.
두 번째로 시간적 전후 관계를 나타낸다.
She stopped at the store and bought some apples.
위의 예문은 “가게에 가서, 사과를 샀다”라는 행동의 연속적인 수서를 나타내며 전후 관계에 따라 순서가 정해져 있다면, and는 and then의 의미가 있으며, 이 경우, stopped at the store와 bought some apples의 순서를 바꾸면 의미상 어색해진다.
세 번째로 and는 결과의 의미가 있다.
She saw a traffic violation and she called the police.
위 예문에서 saw a traffic violation이 원인이 될 수 있고, called the police 결과를 나타낸다. and가 원인과 결과를 나타낼 때는 and therefore로 쓸 수 있고, 시간적인 순서가 나타난 것이므로 절의 순서를 바꾸면 어색한 표현이 된다.
네 번째로 and는 양보의 뜻을 가진다.
He was very careful, and the result was failure.
위 문장에서 and는 ‘그런데도, 그러나’의 의미가 있으며, and 뒤에 yet을 쓸 수 있으며, but으로도 바꾸어 쓸 수 있다.
다섯 번째로 and는 대조의 뜻을 가진다.
Tom is ignoble and Eric is candid.
위 문장 ignoble과 candid는 대조가 되며, 이를 연결하는 and가 사용되었다. and 다음에 in contrast를 쓸 수 있다.
이 밖에도 and는 보충, 강조, 조건, 첨가 등의 의미가 있다. 이러한 and에 관해서 ‘그리고’라는 단순한 의미만 알고 있으면, 글을 읽을 때 글쓴이의 의도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으므로 글의 응집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and의 의미를 명확하게 구별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